여름과 가을 사이, 재산세 고지서를 받을 때마다 집안 살림표를 다시 열어봅니다. 아이들 학원비 결제일이랑 겹치면 현금 흐름이 빠듯해지거든요. 그래서 지난번엔 신용카드로 납부를 시도해봤습니다. 생각보다 절차가 간단했고, 무엇보다 앱에서 곧바로 처리되니 점심시간 틈을 내면 끝나더군요.
재산세 카드 납부 가능
재산세는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전국 공통 시스템인 위택스(Wetax)에서 가능하고, 서울은 이택스(ETAX)·STAX 앱으로도 처리됩니다. 은행 CD/ATM, 일부 지자체 ARS, 인터넷지로 등 오프라인·전화·웹 채널도 선택할 수 있어요.
어디서, 어떻게 결제하나
- 위택스: 로그인 후 ‘납부하기’에서 재산세 선택 →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지정.
- 서울시 ETAX/STAX: 조회된 세목 중 재산세 선택 → 카드 결제.
- 인터넷지로: 고지서 전자납부번호로 조회 후 카드 납부.
- 은행 CD/ATM: 고지서 바코드(또는 전자납부번호)로 조회해 카드 결제 지원 지점에서 납부.
- 대리 납부: 전자납부번호만 있으면 가족 등 타인 카드로도 납부 가능.
수수료와 혜택 포인트
지방세인 재산세를 카드로 결제해도 일반적으로 납부 대행 수수료가 붙지 않습니다. 덕분에 카드 포인트 사용이나 프로모션(무이자·부분무이자, 캐시백 등)을 활용하기 좋습니다. 다만 이벤트는 카드사마다 시기별로 달라지므로 결제 전 카드사 공지와 앱의 행사 페이지를 확인해 두세요. 어떤 카드는 세금 결제액을 실적으로 인정하지만, 제외하는 카드도 있으니 약관을 꼭 보시는 게 안전합니다.
납부 시기와 분납 팁
재산세는 보통 7월(주택·건축물 등)과 9월(주택·토지)로 나뉘어 부과됩니다. 금액이 큰 경우 무이자·부분무이자 행사 기간을 골라 카드를 나눠 쓰거나, 납부 기한 내 분할납부 제도를 활용하면 체감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고지서의 분납 가능 안내 또는 거주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조건과 신청 방법을 확인하세요.
체크리스트
- 영수증 확인: 카드 승인 직후 바로 조회가 안 보일 수 있어요. 보통 다음 영업일 이후 전자영수증을 다시 확인하면 반영되어 있습니다.
- 이중 납부 방지: 자동이체 등록자라면 카드 결제 전 자동이체 해지 여부를 먼저 점검하세요.
- 할부 적용: 일부 채널(ATM·ARS 등)은 할부 선택이 제한될 수 있으니, 모바일·웹 납부 시에 할부 옵션을 설정하는 것이 확실합니다.
- 포인트 결제: 카드 포인트로 일부 또는 전액 납부가 가능한 카드가 있으니 보유 포인트를 미리 확인해 두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