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차로 신문은 요즘 정말 보기 힘듭니다. 마지막으로 본 게 언제인지 기억조차 나지 않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한때는 조선·중앙·동아 같은 메이저 신문들을 위협할 만큼 어마어마한 발행부수를 자랑했던 생활정보지였습니다. ( 농담같은 소리긴 했죠 ) 한때는 지하철 역사 한켠이나 편의점 입구, 심지어 아파트 경비실 앞에도 항상 비치되어 있었고, 비록 '메트로', '포커스' 같은 무가지보다는 대중성은 떨어졌지만(만화가 없었음), 구직자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정보 제공미디어였죠. 일자리를 찾는 사람이라면 아침마다 생활정보지를 챙겨 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TV에서도 종종 그러한 광경이 나왔던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시대는 변했습니다.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정보 습득 방식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

과거에는 지자체 홈페이지의 커뮤니티가 활발하게 운영되었으며, 중고거래 등 다양한 정보가 자유롭게 공유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러한 서비스들이 점차 사라지는 추세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제 생각에는 관리상의 어려움이 첫째로 꼽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일부 사용자가 도배를 하거나, 불법적인 정보를 업로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게시판 성격과 무관한 글들도 다수 올라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게시판 운영에 부담을 느낀 지자체들이 점점 커뮤니티 기능을 축소하거나 폐쇄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진도군청의 경우, 다행스럽게 여전히 홈페이지에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참여마당’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며, 군정제안, 정책참여, 칭찬합시다 ..

며칠 전, 누군가 제게 전자문서 하나를 보내왔습니다. 그런데 확장자가 낯설더군요. zip.lock이라는 이름이었어요. 처음엔 그냥 ZIP 화일인 줄 알았는데, 더블클릭해도 열리지 않고, 일반 압축 프로그램으로도 풀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보낸 사람에게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이 파일은 단순한 압축이 아니라, AES 암호화를 거친 보안이 걸려 있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ZIP도 암호 걸 수 있는데 굳이?"제가 궁금했던 건 바로 그거였습니다. “ZIP 도 비밀번호 걸 수 있는데, 왜 굳이 별도 프로그램을 쓰냐?”고 물었더니, 이렇게 답하더군요:“ZIP 암호는 시간이 좀 있으면 뚫을 수 있어. 특히 예전에 압축한 건 정말 쉽게 풀려. 그래서 최신 기술로 다시 암호화하는 거야.” 그 말대로라면, zip.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