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의 경우에는 청소년들이 연령에 맞는 프로그램을 볼수 있도록 19세 인증을 요구합니다. 본인 명의의 휴대폰을 통해서 진행해야하며, 완료가 된다면 1년동안은 다시 할 필요가 없습니다. 즉, 1년마다 또 해야하는 귀찮음이 있는 것이지요. 인증하는 방법 1넷플릭스에 로그인한 뒤에, 19세 이상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안내 메세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제한된 콘텐츠를 보시려면 www.netflix.com/verifyage 페이지에서 연령을 인증하셔야 합니다" TV의 경우에는 이러한 메세지가 나옵니다. 모바일이나 컴퓨터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는 메시지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확인을 누르게 되면 해당 웹페이지로 자동으로 진행을 할수 있게 됩니다. 본인 확인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게 됩니다.이름생..

제 나이는 어느덧 40대를 훌쩍 넘겼습니다. 이제는 편의점에서 담배를 사더라도 나이를 묻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대학 시절만 해도 자꾸 나이를 확인해서 귀찮았는데, 이제는 아무도 물어보지 않아 섭섭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넷플릭스는 여전히 1년에 한 번씩 제 나이를 묻습니다. 귀찮기는 하지만, 감사한 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말 번거롭습니다. 오랜만에 고전 영화인 스카페이스를 다시 보고 싶었습니다. 예전에 네플릭스에서 두어 번 봤던 작품인데, 또 한 번 보고 싶어졌습니다. 일을 할 때는 내용을 이미 알고 있는 영화를 반복해서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1분 정도 여유가 생겼을 때 고개를 돌려 화면을 봐도 내용을 알고 있기 때문에 흐름이 끊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넷플렉스 연령인증 방법을 간..

옛날에는 종이로된 문화상품권을 많이 주고 받았던것 같습니다. 더 어릴적에는 책만 살수 있는 것도 별도로 있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이때는 할수 있는게 그렇게 많지 않았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영화를 보거나 책을 사는것이 고작이었지요. 하지만 온라인은 다양하게 이용을할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문화상품권 오프라인 사용처(바코드결제) 중에서 쓸만한곳만 정리를 해봤습니다. 지류는 컬처랜드에서 분리가 된것 같더군요. 2022년 이전것만 충전해서 이용할수 있는것으로 기억합니다.앗. 들어가기 전에 종류는 3~4가지가 있는데, 여기서는 제일 유명한 컬쳐랜드만 이야기만 해보려고 합니다. 요즘엔 다 이걸로만 주고 받는것 같더군요. 그리고 대부분 온라인 기프티콘으로 주고 받기도 하고요. 편의점 : CU, Emart24,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