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dap

노인 교통카드 발급 방법 및 나이 기준

답답이다 2025. 2. 4. 07:30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에 대하여 여러가지 복지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수도권 지하철 무임승차 혜택은 노인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와 경기도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위해 우대용 교통카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노인 교통카드의 발급 대상, 신청 방법, 사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안내하겠습니다.

1. 대상

노인 교통카드는 나이가 만 65세 이상인 시민을 대상으로 발급됩니다.

  • 서울시: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65세 이상 시민.
  • 경기도: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시민.

2. 신청 방법

신청은 가까운 주민센터나 지정된 은행에서 가능합니다.

  • 서울시 우대용 교통카드: 주민센터(단순무인)  및 신한은행(체크 또는 신용) 신청 가능.
  • 경기도 G-PASS : 경기도 내 NH농협은행 전 영업점에서 발급 가능. (농·축협 포함)
  • 신청 시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을 지참해야 합니다.
  • 구체적인 필요 서류는 신청 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3. 사용 방법

발급된 교통카드는 신청 후 3일이 지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서울시 우대용 교통카드: 수도권 도시철도에서 무임승차 가능. 단, 버스 이용 시 요금 부과됨
  • 경기도 G-PASS : 수도권 도시철도 무임승차 가능. 버스 이용 시 요금이 부과됨

환승과 관련해서 꽤나 어려운 룰이 적용이 됩니다.

1) 지하철 - 버스 환승시에는 환승 적용이 안됨.

2) 버스 - 지하철 - 버스 로 할때는 적용이 됩니다. 도중에 지하철이 있어도, 버스-버스로 인식이 되는거죠.

4. 유의사항

  • 노인 교통카드는 본인만 사용 가능하며, 타인에게 양도 또는 대여할 경우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인당 1장만 발급되며, 재발급 시 기존 무임 기능이 정지됩니다.
  • 부정 사용이 적발될 경우 운임의 30배(최대 50만 원)의 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단말기에 터치하면 삑삑 소리가 나서 보통 삑 소리와는 구분됩니다. (청소년처럼)

이러한 내용을 알고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